유저 페이지(Front Page) 에서 편집을!


유저 페이지에서 즉시 편집이 가능한 무료 플러그인 Best 3

이럴 때 사용하세요.
1. 아직 워드프레스 사용법에 익숙하지 않아서 글의 내용을 관리 페이지로 이동해서 편집하는게 마음에 들지 않을 때
2. 마찬가지로 간단한 오, 탈자를 수정할 때 관리 페이지로 이동해서 수정하는게 번거로울 때

 

1. WP Inline Edit

inlineedit
사용법

  1. 플러그인 인스톨 및 활성화
  2. 수정하고 싶은 페이지에서 상단 Admin Bar 의 [편집]링크를 클릭하거나 본문에 마우스 더블 클릭

장점

  1. 빠르고 가볍습니다.
  2. 사용법도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 후 본문을 더블클릭만 하면 끝이기 때문에 워드 프레스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설정도 필요없으며 (아예 설정하는 메뉴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가장 심플한 형태의 플러그인입니다.
  4. 관리 페이지의 글 편집에서 사용하던 에디터를 그대로 사용합니다.

단점

  1.   iframe 방식이라 글을 편집할때는 실제 본문의 css 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2. WP Front End Editor

사용법
1. 플러그인 인스톨 및 활성화
2. 관리자 페이지로 로그인 후 수정하고 싶은 페이지에서 상단의 Admin Bar 의 [편집]링크 클릭

장점
1. 빠르고 가볍습니다.
2. 1번의 WP Inline Edit 보다 확장된 형태로 사진 (미디어 라이브러리) 및 카테고리도 편집할 수 있습니다.
3. 1번의 WP Inline Edit 과 달리, 글 편집 화면에서도 실제 사용되는 css 가 적용됩니다. (즉 실제 화면과 동일한 레이아웃이 표시됩니다.)

단점
1. 독자적인 편집 에디터를 사용하는데, 텍스트 편집 모드 ( html 편집 모드 ) 가 없습니다.

 

3. Front End Editor

사용법
1. 플러그인 인스톨 및 활성화
2. 관리자 페이지로 로그인 후 수정하고 싶은 페이지에서 왼쪽의 Edit 링크를 클릭

장점
1. 빠르고 가볍습니다.
2. 1번과 2번의 플러그인보다 조금 더 확장된 형태로, 글 뿐만 아니라 위젯도 수정이 가능합니다.
3. 글 편집 화면에서도 실제 사용되는 css 가 적용됩니다. (실제 화면과 동일한 레이아웃이 표시됩니다.)

단점
1. 사진을 넣을수는 있는데 미디어 라이브러리를 불러오는 형태가 아닌 사진의 URL 을 링크를 거는 방식입니다.

 

총평
각기 장 단점이 있는 3가지의 플러그인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워드 프레스는 몇가지 사용법만 알면 대단히 편리한 CMS 툴이지만
반복된 작업을 하다보면 몇가지 귀찮은 작업이 있습니다.

글을 편집할때가 대표적인데, 기본적으로 관리자 권한으로 로그인 했다면 상단의 Admin Bar 가 항상 따라 다니고
유저 페이지에서는 [이 글 편집], 관리자 페이지에서는 [이 글 보기]의 링크가 있습니다만
간단한 내용 수정 혹은 오,탈자 하나를 수정하기 위해 페이지 이동(관리자 페이지)을 해야한다는것은 너무 번거롭고 귀찮은 일입니다.
관리해야할 페이지의 양이 많다면 더더욱 그렇구요.

저는 글 본문을 html 을 수정할일이 많을 경우 1번의 WP Inline Edit를 사용하고
html 을 거의 사용하지 않을때는 2번의 WP Front End Editor를, 고객에게 납품할 경우 3번의 Front End Editor를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WordPress 를 사용해서 홈페이지를 만들 경우 최소한 위의 플러그인 중 하나는 사용해야 편하게 작업할 수 있더군요.
이 플러그인들로 페이지 이동 없이 즉시 본문을 수정하고, 그 결과를 바로 확인해 보세요.



댓글 남기기

Be the First to Comment!

  댓글 이메일 구독  
구독 설정 :